실험 개요 과학에서 물체에 일을 한다는 것은 물체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힘의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것이다. 일을 확인하기 위한 활동으로 신문지를 관통시킬 수 있는 발사체를 만들어보자.
성냥개비로 신문지를 뚫기 활동을 만들어 보면서 (탐구) 신문지를 뚫기 위한 방법을 알 수 있다. (지식) 일의 요소들과 관계를 알 수 있다. (태도) 다양한 형태의 빨대 발사체를 만들 수 있다.
실험 재료 빨대, 신문지, 성냥개비, 투명테이프
실험 과정 1) 2m 거리에 신문지를 걸어두고 빨대에 성냥을 넣어 입으로 힘껏 불어 신문지를 관통시켜 보자. 2) 세 개의 빨대를 연결한 발사체와 네 개의 빨대를 연결한 발사체를 만든다. 3) 세 개의 빨대를 연결한 발사체로 성냥개비를 불어보자. 4) 그 다음 네 개의 빨대를 연결한 발사체로 성냥개비를 불어보자. 성냥개비가 신문지를 뚫기 위한 빨대의 길이는 어느 정도인가?
실험 속 과학원리 같은 힘을 받더라도 힘을 받아 이동하는 거리가 길어지면 일의 양은 커진다. 따라서 한개의 빨대로는 신문지를 통과시킬 수 없었지만 힘을 받아 이동하는 거리가 긴 빨대의 경우 신문지를 관통시킬 수 있었다. (일의 양 = 힘 x 이동거리)